2015. 11. 19. 18:25

새로 입사한 회사에서 PI system을 이용한 업무를 진행을 하기에 저도 열심히 PI에 대한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모두 영어...ㅠ.ㅠ.

영어가 약한 1인으로서.. 어떻게든 번역 번역..ㅋㅋ


오늘부터 그동안 공부하면서 이해한 내용을 여기에 정리해볼까 합니다.

다만 제가 정리한 내용은 순전히 제 개인적으로 느끼고 파악한 내용이지, OSIsoft(PI개발사)의 뜻이거나 공적인 내용이 아니므로

잘못된 내용이 있다면 즉각적으로 알려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ㅎㅎ



'4차산업혁명 > PI Syste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치 license 관련  (0) 2015.11.24
PI 설치 순서  (0) 2015.11.24
Trust 관련  (0) 2015.11.23
PI system의 기본 구조  (0) 2015.11.20
OSIsoft  (0) 2015.11.20
Posted by 까망후니
2015. 11. 19. 17:47

저는 수학을 10년 넘게 과외하고 가르쳐본 사람입니다.

지금은 직장을 다니고 있지만 지금도 직장 다니면서 퇴근 후에 짬짬이 과외도 하고 있지요.

과외 학생만도 30명이 넘습니다. 

다들 제각각의 유형의 학생들이었는데, 이 학생들의 공통점은 수학을 못한다. 어렵다. 라고 생각하는 것이었습니다.


왜?

뭐가 어려운가?

그런데 재밌는 사실은 이 어렵다고 하는 친구들이 어릴때, 즉, 초등학교때는 어렵지 않아 했다는 겁니다.

재미있는 사실이죠?

단지 어려워 하기 보다는 문제 풀기를 귀찮아 했죠. 덧셈 뺄셈 반복 반복 반복.....


빽빽한 문제 앞에서 모르는건 아닌데 풀기는 귀찮고, 또 고생해서 풀었는데 실수라도 하나 하면 짝대기 쭉~

맘 상하죠..ㅎㅎㅎ


그런 친구들이 어찌어찌 버디면서 중학교 올라와서부터는 큰 벽에 막힙니다.


바로 인수분해죠.

뭐 중1까지는 초딩때 배우던 '네모칸에 알맞는 숫자는?' 대신에 'x의 값은?' 으로 바뀐것만 잘해도 어찌어찌 버티는데,

중2 되면서 이차 방정식 들어가면서 한번 휘청하다가 인수분해 들어가면 그땐 GG!! 

그러다가 함수 나오면 그냥 수포자로....


하지만 인수분해만 잘해놔도 굉장히 쉬워집니다.

물론 인수분해를 잘하기 위해선 센스도 중요하지만 좋은 선생님을 만나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혼자서도 잘하는 친구도 있지만, 대부분 혼자보단 누군가의 설명이 더욱 이해가 빠르게 되죠.


그런면에서 저는 철저히 인수분해를 가르치고 넘어가죠. 그래야 뭐라도 하거든요.

인수분해 못하면 땡입니다.


중1때부터 수학 잘하고 싶으면 인수분해 하세요. 절대적으로..충분한 시간을 할애해서..

모르겠으면 반복해서라도.. 인수분해는 꼭 하고 넘어가세요.


그러면 일단 한고비는 넘기는 겁니다.


그럼 1차 관문 통과...









'수학 > 공부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본 수험서..  (0) 2016.01.11
수학이 어려워요.  (0) 2015.11.27
수학 공부 방법 - 인수분해 예찬  (0) 2015.11.20
Posted by 까망후니
2015. 11. 18. 09:34
- Modbus RTU Frame Format
Name
Length(bits)
Function
Start
28
at least 3 12 character times of silence (mark condition)
Address
8
Station Address
Function
8
Indicates the function code, eg read coils / inputs
Data
n * 8
Data + length will be filled depending on the message type
CRC
16 bits
Error checks
End
28
at least 3 12 character times of silence between frames
 1. Start : 프로토콜 시작을 나타낸다.
 2. Address : 데이터 주소 번지이다.(입/출력 번지)
 3. Function : 해당 펑션 정보이다. 펑션은 일반적으로 6가지가 있고, 사용자별 맞춤 펑션코드도 사용한다.
 4. Data : 실제 입/출력할 데이터 이다.
 5. CRC : 데이터가 올바른 데이터인지 확인하기 위한 코드이다.
 6. End : 프로토콜 종료를 나타낸다.
 
- Modbus ASCII Frame Format
Name
Length
(char.)
Function
Start
1
starts with colon ( : ) (ASCII hex value is 0x3A)
Address
2
Station Address
Function
2
Indicates the function codes like read coils / inputs
Data
n
Data + length will be filled depending on the message type
LRC
2
Error checks
End
2
carriage return – line feed(CR/LF) pair (ASCII values of 0x0D & 0x0A)
 1. Start : 프로토콜 시작을 나타낸다.
 2. Address : 데이터 주소 번지이다.(입/출력 번지)
 3. Function : 해당 펑션 정보이다. 펑션은 일반적으로 6가지가 있고, 사용자별 맞춤 펑션코드도 사용한다.
 4. Data : 실제 입/출력할 데이터 이다.
 5. LRC : 데이터가 올바른 데이터인지 확인하기 위한 코드이다.
 6. End : 프로토콜 종료를 나타낸다.

- Modbus TCP Frame Format

Name
Length
(bytes)
Function
Transaction ID
2
For synchronization between messages of server & client
Protocol ID
2
Zero for Modbus/TCP
Length
2
Number of remaining bytes in this frame
Slave ID
1
Slave Address (255 if not used)
Function code
1
Function codes as in other variants
Start Address
2
Start Address

Count

2

Data Count

 1. Transaction ID :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에 서로 번호를 증가함으로서 데이터 순서를 맞춰준다. 해당 정보는 길이가 2byte로 다 차면 다시                                           0부터 시작된다.
 2. Protocol ID : 프로토콜 ID이라고 하는데, 사실 뭐에 쓰는지 잘 모르겠다. 그냥 고정 코드 값 사용함(대부분 0)
 3. Length : 하위 데이터의 크기를 나타낸다.
 4. Slave ID : Slave ID이다. 해당 ID가 맞아야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가져올 수 있다.
 5. Function code : 사용할 펑션 코드 정보이다.
 6. Start Address : 데이터를 가져올 시작 주소를 나타낸다.
 7. Count : Address로부터 가져올 데이터의 크기를 나타낸다.

 * Tx/Rx 가 데이터가 약간 상이하다. 위의 내용과 다를수 있다. 위의 내용은 제가 개발하면서 그냥 알게된 내용들입니다. 정확한 정보는 아니므로 오류사항이 있으면 알려주세요. 또한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질문해 주시기 바랍니다. 저도 잘 알지 못하지만 같이 공부하는 차원에서..ㅎㅎ 

[참고. http://ymkimit.blogspot.kr/]

Posted by 까망후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