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에 해당되는 글 221건
- 2018.04.19 [의학] 난치성 뇌암을 공격하는 바이러스
- 2018.04.04 [카닥] 차량 수리
- 2018.03.27 PowerPoint Image 검색 방법
- 2018.03.21 I/F Readonly 수정 방법
- 2018.03.19 PI System Backup 설정 방법
- 2018.03.08 [다이어트] 칼로바이...
- 2018.03.06 Windows10 바탕화면 내컴퓨터 표기 방법
- 2018.03.06 Postgre SQL ODBC 설정 방법
- 2018.02.26 마우스, 키보드가 먹통일때...
- 2018.01.29 블록체인 기술의 이해와 응용
[ 출처 : http://www.kosen21.org/info/globalNews/globalNewsDetail.do?articleSeq=3563 ]
우리가 바이러스를 불구대천지 원수라고 생각하는 것은 매우 쉬운 일이지만 그 힘을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다면 멋진 동맹군이 될 수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영국 리즈 대학(University of Leeds)이 발표한 새로운 연구는 난치성 뇌종양 환자를 치료하는데 바이러스를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이 바이러스를 혈관에 주입하면 혈액뇌장벽(blood-brain barrier, BBB)을 통과하여 뇌에 침투한 후 복제하고 암세포를 죽인다. 그뿐만이 아니라 이 바이러스는 환자의 면역 체계를 자극하여 종양을 공격하게 한다.
런던 암연구소(Institute of Cancer Research)의 중개 면역치료(Translational Immunotherapy) 교수 앨런 멜처(Alan Melcher)는 “실제로 우리의 면역체계는 암세포를 식별하는데 있어 그다지 효율적이지 않은데, 부분적으로는 암세포가 자신을 체세포와 유사하게 보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암세포가 면역세포에게 자신을 못 본 체 하라고 말하는데 능숙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면역체계는 바이러스를 식별하는 데는 매우 뛰어나다”라고 말했다.
그는 “연구를 통해 레오바이러스(reovirus)가 뇌의 암세포를 감염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더 중요한 것은 면역체계가 레오바이러스에 감염된 뇌종양을 더 잘 식별할 수 있었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널 과학 중개 의학(Science Translational Medicine)을 통해 발표된 이 연구에서 과학자들은 레오바이러스 군에 속하는 포유류 오소레오바이러스 3형(orthoreovirus type)을 사용했다. 신체에 주입된 이 바이러스는 건강한 세포는 제외하고 암세포만 공격했기 때문에 대부분의 환자들은 일반 감기 정도의 느낌만 받았다.
이 실험은 단지 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지만 현행 암치료와 조합할 경우 뇌종양과 싸우고 있는 사람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의사들은 외과적으로 뇌종양을 제거하는 수술을 진행하기 전에 9명의 환자에게 모두 바이러스를 주입했다. 이후 과학자들은 종양을 제거한 후 실시한 검사에서 바이러스가 암세포에 도달했으며 공격을 시작한 증거를 찾을 수 있었다. 또한 면역체계의 킬러 T 세포인 백혈구 세포가 바이러스를 공격한 것도 볼 수 있었다.
이 소규모 임상실험을 통해 암면역치료에 대한 중요한 생물학적 질문을 얻었고 실험실 및 임상에서 연구를 더 진행할 수 있는 통찰력을 얻을 수 있었다고 말한 멜처 교수는 이제 레오바이러스를 이용해 혈액뇌장벽을 관통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고 얼마나 바이러스 면역치료가 효과적으로 확장될 수 있고 매우 제한적인 치료법을 사용할 수밖에 없는 뇌종양 환자의 삶을 개선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임상실험을 시작했다고 덧붙였다.
![](http://www.kosen21.org/images/kosen/common/line_inp_01.png)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계분석] 통계분석 설명 (0) | 2018.05.04 |
---|---|
2018년 전통·융합산업별 공개SW 요소기술개발 지원사업 시행 공고 (0) | 2018.04.19 |
[카닥] 차량 수리 (0) | 2018.04.04 |
[다이어트] 칼로바이... (0) | 2018.03.08 |
블록체인 기술의 이해와 응용 (0) | 2018.01.29 |
윽..골목에서 세워져있던 트럭에 튀어나온 철판 모서리에 긁혀 차가 찢어짐..ㅠ.ㅠ.
뒷문 부터 휀더 끝까지 긁힌데다가..뒷문 틈은 찢어져서 구멍이 나버리고..ㅠ.ㅠ.
이거 어찌해야 되나 고민하면서 검색다가 우연히 발견한 카닥 앱!!
사례가 화려한지라 한번 슬쩍 견적을 넣어봤는데 늦은시간에도 견적서가 막 날아오고..ㅎㅎㅎ
집에서 제일 가깝고 가격도 저렴한 '성남자동차외과' 라는 업체에 맡겼다.
30만원 환급 이벤트를 기대하면서..ㅎㅎ(결국 안됬지만..ㅠ.ㅠ.)
돌아온 차는...
워..새차가 되어있었다..
어디 그런적 있나 싶을 정도로...ㅡ.ㅡ;;;
여기만 새차임..ㅋㅋ.다른 곳도 같이 하고 싶을정도로.....
서비스로 주변 긁힌곳 도색도 살짝 해주시고.. 전문 세자 정도는 아지니만 기본 세차도 해주신듯 합니다.
무료 픽업에 친절하게 대응해 주신 사장님~!!
감사드리며!! 대박나세요!!!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년 전통·융합산업별 공개SW 요소기술개발 지원사업 시행 공고 (0) | 2018.04.19 |
---|---|
[의학] 난치성 뇌암을 공격하는 바이러스 (0) | 2018.04.19 |
[다이어트] 칼로바이... (0) | 2018.03.08 |
블록체인 기술의 이해와 응용 (0) | 2018.01.29 |
블록체인 기술동향과 시사점 (0) | 2018.01.29 |
PPT 이미지 추가를 위한 검색을 위해서는 png 512 를 추가하면 된다.
예를 들어서 나무 그림을 추가하고 싶을때, "나무 png 512" 라고 검색하면 이미지가 검색된다.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엑셀] 셀 강조 방법(가로세로) (0) | 2021.03.14 |
---|---|
[QM6] 전자식 사이드 해제 방법 (0) | 2020.11.18 |
API 테스트 (0) | 2015.12.01 |
IT용어 정리 사이트 (0) | 2015.11.17 |
인터페이스 노드의 ICU가 PI 서버에 대해 ‘Read-Only’ 권한밖에 없는 경우 해결 방법
보통 ICU가 서버에 해당 인터페이스를 설치할 때에는 서버 내 Module database라는 곳에 등록을 하여 관리함.
이를 하기 위하여서는 ICU가 서버 내 Module Database에 대한 쓰기 권한이 있어야 함.
해결방법:
1. 일시적으로 해당 노드의 ICU에 권한을 높이시고 인터페이스 추가를 다시 해보는 방법
2. ICU가 사용하는 PI Trusts에 module database에 대한 쓰기 권한 부여.
해당 권한은 PI-SMT > Operation > Security > Database Security 에서 부여함.
'4차산업혁명 > PI System' 카테고리의 다른 글
[RTDB] 스마트팩토리에 대한 내 생각과 데이터 수집의 중요성 (5) | 2018.07.04 |
---|---|
PI System Backup 설정 방법 (0) | 2018.03.19 |
Windows Service 등록 방법 (0) | 2018.01.19 |
[PI Vision] PI Web API 경로 변경 (0) | 2018.01.19 |
PI Data Insert (0) | 2017.12.20 |
경로는 각 서버에 설치된 경로를 따른다. 기본 경로로 설명한다.
백업은 크게 2가지 프로세스로 이루어져있다.
1. PI Archive 전체 백업
2. 전체 백업후 매일 자동 증가분 백업
[전체 백업 방법]
1. CMD 창에서 C:\Program Files\PI\adm 이동
2. pibackup.bat [백업경로 F:\PIBackup] -type FULL -arcdir -wait
3. 1차 백업 중~
4. 백업 경로 또는 SMT를 이용하여 백업 파일을 확인
[자동 백업 방법]
1. CMD 창에서 C:\Program Files\PI\adm 이동
2. pibackup [백업경로 F:\PIBackup] -install
3. Task Scheduler 실행
4. 백업 스케줄이 정상적으로 등록되었는지 확인
'4차산업혁명 > PI System' 카테고리의 다른 글
[RTDB] 스마트팩토리에 대한 내 생각과 데이터 수집의 중요성 (5) | 2018.07.04 |
---|---|
I/F Readonly 수정 방법 (0) | 2018.03.21 |
Windows Service 등록 방법 (0) | 2018.01.19 |
[PI Vision] PI Web API 경로 변경 (0) | 2018.01.19 |
PI Data Insert (0) | 2017.12.20 |
다이어트 식품 칼로바이..
손나은이 광고를 해서 다이어트도 할겸..구매를 했다.
3달 분량을 구매해서 정말 꾸준히 먹었다.
물도 많이 마시라고 해서 회사에서 평소 마시던 커피 대신 물을 줄기차게...
덕분에 화장실도 줄기차게...(소변으로 지방 성분이 배출된다는 얘기도..)
그렇게 사실 2달을 꾸준히 먹었는데...꼴랑 2키로..ㅠ.ㅠ..
과식도 특별히 하지 않고..술도 더더군다나..안마시고..ㅠ.ㅠ..
야근은 좀 많이 했음..
그런데..특별히 빠지지가 않는다..
내 몸이 피곤해서 그런건지.. 약먹고난 이후에는 자꾸 졸리고..
몸이 건강해 지려고 그러는건지..
아무튼..2달 먹고 변화가 없는걸 봐서 그런지..
점점 먹는게 띠엄띠엄 해지더니..
결국 나머지는 와이프한테 줘버렸음..
개인적으로 식이요법을 같이 병행했어야 하나 싶기도 하고..
다이어트 약이라기 보다는 다이어트시 더 살이 잘 빠지게 도와주는 약인듯한..
다른 분들은 다들 성공하신다던데..
내가 이상한건지..ㅠ.ㅠ....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학] 난치성 뇌암을 공격하는 바이러스 (0) | 2018.04.19 |
---|---|
[카닥] 차량 수리 (0) | 2018.04.04 |
블록체인 기술의 이해와 응용 (0) | 2018.01.29 |
블록체인 기술동향과 시사점 (0) | 2018.01.29 |
TortoiseSVN disconnect 방법 (0) | 2018.01.19 |
1. 시작버튼 우클릭 - 설정 탭
2. 설정 - 개인 설정 - (좌측 메뉴)테마 ->(우측 메뉴) 바탕화면 아이콘 설정
3. 내컴퓨터 체크 확인.
'OS > Windw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 인증서 간단히 만드는 방법 (0) | 2019.06.25 |
---|---|
설치시 administrator 활성화 방법 (0) | 2018.07.27 |
마우스, 키보드가 먹통일때... (0) | 2018.02.26 |
[Windows] 시작 프로그램 설정 방법 (0) | 2018.01.29 |
Windows 명령어 (0) | 2017.11.01 |
갑자기 마우스와 키보드가 인식이 안되서 개고생하는 경우가 있다.
대부분 드라이버를 지웠다가 다시 설치하면 되는데, 난 100번을 해도 안되서..
몇시간을 개고생하다가 겨우 찾아낸 방법...
제어판 - 관리도구 - 장치 관리자 실행
오류난 장치 정보(노란색 삼각형 오류표기)가 보이면 해당 장치 더블클릭!
드라이버 탭 - 드라이버 업데이트 선택!
컴퓨터에서 드라이버 소프트웨어 검색!
경로를 C:\Windows\WinSxS 로 선택(하위폴더 포함)
-> 경로는 개인 PC 설정에 맞춰서 WinSxS 폴더 경로로 잡아주면 됨.
이러고 설치하면 정상 동작함...
단..같은 마우스는 다음부터 그런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데, 다른 마우스 연결하면..
또 같은 작업을 반복해야 하는..ㅠ.ㅠ.
도대체 왜그러니..ㅠ.ㅠ...
'OS > Windw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치시 administrator 활성화 방법 (0) | 2018.07.27 |
---|---|
Windows10 바탕화면 내컴퓨터 표기 방법 (0) | 2018.03.06 |
[Windows] 시작 프로그램 설정 방법 (0) | 2018.01.29 |
Windows 명령어 (0) | 2017.11.01 |
공유 드라이버 설정 명령어 (0) | 2017.10.31 |
[동국대학교 국제정보보호대학원 블록체인 연구센터 박성준 센터장]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닥] 차량 수리 (0) | 2018.04.04 |
---|---|
[다이어트] 칼로바이... (0) | 2018.03.08 |
블록체인 기술동향과 시사점 (0) | 2018.01.29 |
TortoiseSVN disconnect 방법 (0) | 2018.01.19 |
OEE 란? (0) | 2018.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