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에 해당되는 글 221건
- 2018.06.08 [꿈해몽] 꿈해몽 1000가지
- 2018.06.08 [JavaScript] 코드 압축
- 2018.06.08 [HTML] 기초 공부
- 2018.06.08 [python] 기초 강좌
- 2018.05.18 [OVM] Oracle Virtual Machine 관련
- 2018.05.16 [BigData] 구성 요소 간략 설명
- 2018.05.16 Iaas, Paas, Saas
- 2018.05.08 [CentOS 7] 네트워크 설정 방법
- 2018.05.04 [통계분석] 통계분석 설명
- 2018.04.19 2018년 전통·융합산업별 공개SW 요소기술개발 지원사업 시행 공고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드컵] 장현수 난리.. (0) | 2018.06.25 |
---|---|
2018 안산시 정책 우수 아이디어 공모전 (0) | 2018.06.12 |
[통계분석] 통계분석 설명 (0) | 2018.05.04 |
2018년 전통·융합산업별 공개SW 요소기술개발 지원사업 시행 공고 (0) | 2018.04.19 |
[의학] 난치성 뇌암을 공격하는 바이러스 (0) | 2018.04.19 |
'언어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 날짜 관련 정리 (0) | 2015.12.07 |
---|---|
[Component] 웹에서 엑셀같은 SpreadSheet 써보기 (0) | 2015.12.02 |
[펌]Memory leak 관리 방법 (0) | 2015.12.01 |
자바스크립트 코드 압축 하기 (0) | 2015.11.18 |
'언어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버전관리 방법 (0) | 2019.04.19 |
---|---|
[python] 기초 강좌 (0) | 2018.06.08 |
투명배경 이미지 파일 만들기 (0) | 2017.10.16 |
'언어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버전관리 방법 (0) | 2019.04.19 |
---|---|
[HTML] 기초 공부 (0) | 2018.06.08 |
투명배경 이미지 파일 만들기 (0) | 2017.10.16 |
[참조 : http://www.zespro.co.kr/product/OracleVM.aspx ]
Oracle VM의 장점
- 하드웨어, 에너지, 설비 비용 및 TCO 감소
- 설치 간소화
- 빠른 소프트웨어 배포
- 더욱 효과적인 성능
- 엔터프라이즈급 지원
- 무료 소프트웨어
- Linux 및 Windows 지원
- Oracle 데이터베이스, 미들웨어, 어플리케이션 인증
품목
Oracle VM Premier Limited 1Year(Up to2Sockets) | $599 |
---|---|
Oracle VM Premier 1Year(Unlimited Sockets) | $1,199 |
Oracle VM Premier Limited 3Year(Up to 2Sockets) | $1,797 |
Oracle VM Premier 3Year_(Unlimited Sockets) | $3,597 |
Technical Information
ORACLE VM SERVER REQUIREMENTS | |
---|---|
Supported Host Platforms | Systems with x86 or x86_64 processors that support PAE (Physical Address Extension) |
Minimum Processor Class | I686 class |
Minimum Memory | 1GB |
Recommended Memory | 2GB |
Number of Supported Guests | Based on the amount of physical memory in the server and the amount of memory allocated to each guest. |
CPUs Supporting Paravirtualized Guests | Intel Pentium-PRO or newer |
All AMD Athlon/Duron or newer | |
At least a Pentium IV or Athlon CPU recommended | |
CPUs Supporting Hardware Virtualized Guests | Some Intel Pentium D, Core, Core2 and Xeon models (/proc/cpuinfo should include "vmx" among the flags) |
Some AMD Athlon and Opteron models(/proc/cpuinfo should include "svm" among the flags) | |
Maximum Number of CPUs | Oracle VM Server: 64 logical CPUs |
Guests: 32 logical CPUs | |
Maximum Memory | Oracle VM Server: 1TB |
Guests: | |
x86 (32-bit): 63GB | |
x86_64 (64-bit): 510GB | |
Supported Disks for VM files | SCSI, SAS, IDE/SATA, NAS, iSCSI, FC,FCoE |
Hypervisor Booting | From local drives, SAN, iSCSI, NFS, flash |
Supported Virtual Hardware | vDisk: 20 hda, 26 sda, 5 xvd (all tested for a single PV machine instance); maximum of 128 vDisk devices per VM pool |
vNICs: 31 for paravirtualized, 8 for hardware virtualized |
제품소개 > Oracle VM > 구동방식
- Oracle VM Server Guest OS(VM)을 운영하기 위하여 Xen Hypervisor 기반의 서버, Oracle VM Agent를 포함.
- Oracle VM Server Guest OS를 통제하기 위한 웹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 Application Development-Framework를 지원하여 추후 원하는 방식으로 재구성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제품소개 > Oracle VM > 구동요소(Oracle VM Server)
- Master Server
서버 풀에 대한 모든 오퍼레이션을 관장하며, 외부(Oracle VM Manager 등)와 해당 풀간의 컨텍 포인트로써 역할을 합니다. 서버 풀에 단 한 개의 Master Server만 존재할 수 있습니다.
- Utility Server
I/O 인텐시브한 오퍼레이션(파일 생성, 복사, 이동 등)을 관장하며, 풀에 다수 Utility Server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I/O job에 대한 요구가 있을 때 CPU 사용율이 가장 낮은 Utility Server를 Master Server가 지정하게 됩니다.
- Virtual Machine Server
서버 풀 내의 게스트 VM을 운영하는 Hypervisor 역할을 합니다. Oracle VM Agent를 통해서 Master Server, Utility Server와 통신을 합니다.
사업수행을 위한 제안 구성도 > 운영방안 > V/M Manager
- Oracle VM Manager로 사용하는 서버가 내부의 VM Server뿐만 아니라 원격지에서도 접속 할 수 있게 구성하여, 언제든지 VM을 컨트롤 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 합니다.
- 정상적으로 운영중인 VM의 이미지를 Gold Image로 만들어 Server Pool에 저장해 놓고 장애상황 발생시 즉시 복제하여 가동 시킬 수 있도록 준비합니다.
- Oracle VM은 장애 시 서비스의 다운타임을 최소화 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을 제공합니다.
- 예정된 이벤트에 대한 대처를 위해서 Live migration 기능을 제공하며, 예기치 않은 장애에 대비하기 위해서 Failover HA 기능을 제공합니다.
- Oracle VM Manager를 활용하여 VM의 현재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습니다.
- 모니터링 시에 Log 링크를 통하여 발생한 장애를 판단하고 조치 할 수 있습니다.
'OS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alias]별칭[단축동작] 명령어 등록/삭제 (0) | 2018.06.21 |
---|---|
chmod, chown 파일권한과 소유권 변경 (0) | 2018.06.21 |
[CentOS 7] 네트워크 설정 방법 (0) | 2018.05.08 |
[CentOS] 설치 관련 정보 (0) | 2016.06.27 |
[CentOS] root 원격 접속 허용 및 제한 (0) | 2015.12.02 |
빅데이터의 4가지 과정
1. 빅데이터 수집(획득) : Acquire - HDFS, NoSQL HBase, Casandra, MongoDB
2. 빅데이터 구조화 : Organize - Hadoop(MapReduce), Datamining-Mahout, S4, Storm
3. 빅데이터 분석 : Analyze - Data Warehouse, Graph Analysis(Pregel, GoldenORB)
4. 빅데이터를 토대로 결정 : Decide - Analytic Applications
NoSQL : NoSQL은 일반적으로 "Not only SQL"을 의미하며, 비구조적인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분산 저장 시스템
HBase : HBase는 구글이 2006년에 소개했던 BigTable의 아파치 재단 오픈소스 구현체이다, NoSQL이며, 분산 시스템이 가지면 좋은 속성 세가지(일관성, 가용성, 분산 감내성) 중 일관성과 분산 감내성을 가지는 NoSQL이다.
Cassandra : Cassandra는 NoSQL이며, 가용성, 분산 감내성을 위해 설계 및 개발되었다, 초기에 Facebook에서 사용, 현재 아파치 오픈소스이다.
MongoDB : MongDB는 NoSQL이며, HBase와 유사하게 일관성과 분산 감내성을 위해 설계 및 개발되었다. JSON, XML 형태의 구조적 문서를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한다.
Datamining-Mahout : 아파치 재단에서 지원하는 프로젝트, 하둡 위에서 확장성 있는 기계 학습과 데이터 마이닝 작업을 수행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S4 : S4는 분산 스트림 처리를 위한 플랫폼. 연속적으로 들어오는 스트림 데이터 처리에 대해서 쉽게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야후가 초기에 사용
Storm : Storm은 분산 스트림 처리를 위한 플랫폼. 트위터가 초기에 사용
Data Warehouse : 데이터의 리포팅 또는 분석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주로 기업의 수많은 마케팅, 영업 분야의 데이터 저장
Pregel : Pregel은 구글에서 개발한 분산 그래프 데이터 처리 프레임워크이다.
goldenORB : GoldenORB는 Pregel의 오픈소스 구현체 이다.
[참조 : 대용량 데이터 분석 및 처리를 위한 Hadoop & NoSQL]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 인프라 자원을 가상 환경에서 쉽고 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는 것.
Paas(Platform as a Service)
-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는 환경 및 환경을 이용하는 Application 개발을 위한 API 등을 제공하는 것.
Saas(Software as a Service)
- Cloud 환경에서 동작하는 응용프로그램을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는 것.
1. 네트워크 설정 확인
ping pmang.com (Enter)
service not known 등 에러 메시지 나오면 설정 안된것.
정상적일 경우 ping 정보가 올라옴.
2. 네트워크 IP 설정
cd /etc/sysconfig/network-scripts (Enter)
자기 네트워크 카드에 맞는 항목 찾기(ex. eth0인 경우)
vi ifcfg-eth0 (Enter)
3. IP 정보 추가
BOOTPROTO=static (DHCP는 자동설정임. 수동일때 static으로 변경)
IPV6INIT=no (IPv6 사용 해제)
ONBOOT=yes (부팅 시 등록된 IP 적용)
IPADDR=192.168.0.10 (사용 IP 등록)
NETMASK=255.255.255.0 (subnetmask)
GATEWAY=192.168.0.1 (Gateway 정보)
DNS1=8.8.8.8 (DNS IP -> 8.8.8.8은 구글 IP)
4.수정 완료 후 :wq 눌러서 저장하고 나옴.(다시 vi 들어가서 정상적으로 저장되었는지 확인)
5. 네트워크 서비스 재시작
service network restart (Enter)
6. ping 으로 네트워크 설정 확인
'OS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mod, chown 파일권한과 소유권 변경 (0) | 2018.06.21 |
---|---|
[OVM] Oracle Virtual Machine 관련 (0) | 2018.05.18 |
[CentOS] 설치 관련 정보 (0) | 2016.06.27 |
[CentOS] root 원격 접속 허용 및 제한 (0) | 2015.12.02 |
[리눅스] CentOS 설치 방법 (0) | 2015.12.01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 안산시 정책 우수 아이디어 공모전 (0) | 2018.06.12 |
---|---|
[꿈해몽] 꿈해몽 1000가지 (0) | 2018.06.08 |
2018년 전통·융합산업별 공개SW 요소기술개발 지원사업 시행 공고 (0) | 2018.04.19 |
[의학] 난치성 뇌암을 공격하는 바이러스 (0) | 2018.04.19 |
[카닥] 차량 수리 (0) | 2018.04.04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꿈해몽] 꿈해몽 1000가지 (0) | 2018.06.08 |
---|---|
[통계분석] 통계분석 설명 (0) | 2018.05.04 |
[의학] 난치성 뇌암을 공격하는 바이러스 (0) | 2018.04.19 |
[카닥] 차량 수리 (0) | 2018.04.04 |
[다이어트] 칼로바이... (0) | 2018.03.08 |